본문 바로가기

30대에 간호학생/간호술기

NG tube 비위관 세척, 제거 방법 / L-tube irrigation, Removing the NG tube

반응형

NG tube 비위관 세척 , 제거

저번 시간에는 비위관 삽입 절차에 대해 알아봤었죠. 오늘은 비위관 삽입 후 세척 및 제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위관 세척

1. 손위생 후, 장갑을 착용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3. 이름과 등록 번호 등으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개방형)
4. 대상자에게 절차와 목적에 대해 설명한다.
5. 깨끗한 수건을 비위관(NG tube)과 튜브 연결부위 밑에 놓는다.

6.

  • 장비나 수액을 연결하거나 재연결하기 전
  • 이동 시
  • 인계 시에는
    튜브나 카테터의 시작점에서 대상자까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7. 튜브가 아직 위장(stomach) 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코 밖에 나온 튜브의 펜이나 테이프의 표시를 확인하고, 콧구멍에서 튜브 밖의 길이가 변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8. 처방된 세척액을 처방된 용량으로 준비한다. 만약 멸균 증류수와 같이 수액병에 담겨 있는 세척액을 사용한다면, 대상자의 수액병에 라벨이 올바르게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이름, 날짜와 시간).
9. 비위관(NG tubes)을 잠그고 연결 튜브를 분리한다. 연결 튜브 끝을 수건 위에 놓는다.
10. 내관(plunger)이 있다면 분리하고 카테터 끝이나 주사기에 비위관(NG tube) 끝을 연결하고 클램프를 연다.
안전하게 연결된 주사기를 잡고 아래로 향하면서 세척액(irrigation fluid)을 천천히 주입한다. 용액을 억지로 넣지 않는다.
* Salem Sump
튜브의 파란 줄(pigtail)은 공기배출구(air vent)이므로, 이곳에 용액을 주입하지 않는다.

11. 저항이 느껴진다면 튜브가 꼬이거나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대상자를 왼쪽으로 눕힌다. 저항이 지속되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 저항은 튜브의 끝이 위벽에 닿아서 일어날 수 있다대상자의 자세를 변화시킴으로 튜브가 위벽에서 움직이게 할 수 있다배액이 적절히 안되는 비위관은 분비물이 쌓여 복부팽만이나 구토를 일으킬 수 있다.

12. 비위관(NG tubes)을 배액주머니 또는 흡인기에 재 연결하고 주입된 용액의 양과 종류를 기록한다.
13. 주사기에 소량의 공기를 채우고 파란색 줄(pigtail)인 공기배출구에서 관류시킨다. (Air Flushing : 공기 개방성유지)
14.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처치 후 재사정한다.
15. 사용한 물품을 버린 후 장갑을 벗고 손위생을 실시한다.
16. EMR에 기록한다.

* 참고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8pRQH5UmEmI

비위관 제거 (Removing the NG tube)

1. 손위생 실시 후, 장갑을 착용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3. 개방형으로 대상자의 이름과 등록 번호를 확인한다.
4.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한다.
5. 대상자에게 세미파울러(semi-Fowler)나 하이파울러(high-Fowler) 자세를 취하게 하고 침상을 간호사가 일하기 편한 위치로 높인다.
6. 깨끗한 수건을 대상자의 가슴 위에 놓고, 얼굴을 닦을 휴지도 준비한다.
7. 비위관(NG tube)을 잠근다.
-> 비위관(NG tube)이 흡인기에 연결되어 있으면, 전원을 끄고 튜브를 분리한다.
-> 비위관(NG tube)이 장관영양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면, 영양펌프(feeding pump)의 전원을 끄고 튜브를 분리한다.

8. 튜브가 충분히 깨끗해지도록 소량의 공기를 비위관(NG tube)으로 주입한다.
9. 테이프를 제거한다.
10. 대상자에게 숨을 들이쉬고 참고 있으라고 한다.
-> 호흡 감각의 손실예방

11. 튜브를 잡고 안정되고 부드럽게 잡아당긴다.
12. 대상자에게 숨을 평소대로 쉬도록 알려준다.
13. 튜브에 손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만약 손상되었다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14. 배액량을 측정하고 내용물의 특징을 평가한다.
15. 장갑을 벗고 손위생을 실시한다. 새로운 장갑을 착용한다.
16.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17. 콧구멍 안을 확인하고 청결하게 해준 후, 구강간호(mouth care)를 제공한다.
18. 침상을 원위치로 내려놓는다.
19. 대상자가 오심이나 다른 불편함이 있으면 알려 달라고 교육한다.
20.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처치 후 재사정한다.
21. 사용한 물품을 정리하고 장갑을 벗고 손위생을 실시한다.
22. EMR에 기록한다.

비위관 삽입 절차, NG tube 종류 / Nasogastric Tube Insertion

 

비위관 삽입 절차, NG tube 종류 / Nasogastric Tube Insertion

비위관 삽입 절차,  NG Tube 종류비(코) ~ 위장을 연결하는 비위관 삽입 절차, 세척 방법, 제거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비위관이란?Nasogastric Tube로 코를 통해 식도 ~ 위장까지 도달하는 튜브

sophie0926.tistory.com

[핵심간호술기] 간헐적 위관영양 절차/목적/근거/적응증

 

[핵심간호술기] 간헐적 위관영양 절차/목적/근거/적응증

간헐적 위관영양이란?-경장영양의 주입 방법 중 하나로, 정해진 시간 동안 영양액을 일정 양을 주입하는 방식.- 위관영양(gastric feeding)은 경장영양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영양액이 위(stomach)로

sophie0926.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