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4)
[폐기능검사] PFT 폐기능 검사 종류와 설명, 방법 폐기능검사 PFT폐기능 검사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요. 하나하나 어떤 질병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지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폐기능 검사란?폐기능 검사는 호흡기관의 가장 기본적인 검사 중 하나로, 검사 대상자의 폐 상태를 객관화된 지표로 표현하는 생리적인 검사수단입니다. 호흡기질환의 병태생리를 잘 반영해줌으로써 질병의 진단뿐만 아니라, 경과 관찰, 치료 효과 등을 판정하는 데 유용하며, 이외에도 직업성 폐질환이나 호흡기장애 판정 등에 필수적인 검사입니다.폐기능 검사의 종류폐활량 검사기관지 확장제 검사폐확산능력 검사폐 용적 검사기관지 유발 검사최대환기량최고호기기류 속도 검사폐활량 검사 (Spirometry)이런거 드라마 같은 데서 많이 보셨죠?폐활량 검사는 대상자가 최대한 숨을 들이마신 후 내쉴..
[부정맥 정복] 방실결절전도장애(Atrioventricular (AV) Conduction Defect 종류, EKG 특징, 치료방법 알아보기 으악 다했다. 방실결절전도장애 부정맥까지 알아보면 사실 다 한 건 아닌데, 간호학과는 이 정도만 알아도..시험에서 EKG 로 틀릴 일은... 없을 것 같지만 또 모르니까 열공하시길...방실결절전도장애란?동방결절에서 시작한 심장수축자극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히스속으로 전도가 지연 혹은 차단되는 것을 말합니다.동방결절 -> 방실결절 -> 히스속 -> 푸르킨예 섬유의 길로 전기적 자극이 일어나는데, 방실결절까지만 도달하고히스속에서 전도가 지연되는 것이죠.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완전) 방실차단으로 나뉩니다.1도 방실차단2도 방실차단 -> Mobitz 1, Mobitz 2 로 나뉨3도 방실차단 or 완전 심장차단1도 방실차단 First-Degree AV Block특징: PR 간격이 정상보다 연장, 모..
[부정맥 정복]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PVC, VT, VF EKG 파형분석 및 치료방법, CPR 부정맥 방실결절전도장애도 해야하는데.. 일단 심실부터 가봅시다. 제일 중요하니까요. CPR과 제세동을 실시하는 파형도 나오는 심실 부정맥 시작합니다.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조기심실수축심실빈맥다원성 심실빈맥심실세동심정지등이 있습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으로 응급조치가 필요한 부정맥들이죠. 이것으로 우리는 심방보다 심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조기심실수축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동방결절에서 수축 내보내기 전! 심실에서 흥분된 세포가 심실을 직접 수축해서 발생하는 부정맥으로가장 흔히 발생합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다 시피 얘는 보상휴지기가 존재하죠.EKG 상에서 P파가 갑자기 거꾸로 나타납니다.원인 - 심근경색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교감신경자극제 등 ..
[부정맥 정복] 심전도 EKG로 확인하는 부정맥 종류, 치료방법 알아보기 (동방결절, 심방 발생 부정맥) 심전도 EKG,ECG 통해서 확인하는 부정맥 종류에 대해 알려보고자 합니다. 일단 기본적인 EKG에 대한설명은 저번 포스팅에서 다뤘으니 확인해보시면 더 자세히 아실 수 있을 겁니다.[성인간호] ECG,EKG 보는 법 뽀개기, 심폐소생술 EKG, 심전도로 심박수 측정하는 법, 파형 분석 [성인간호] ECG,EKG 보는 법 뽀개기, 심폐소생술 EKG, 심전도로 심박수 측정하는 법, 파형 분석EKG,ECG 보는 법오늘은 심전도 파형 분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이죠. 체표면으로 전달되는 심장내의 전기적 흐름을 신체 표면에 부착하sophie0926.tistory.com EKG,심전도란?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심장 건강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로 다양한 부..
[필수간호지식] ABGA 동맥관 동맥혈 채혈 절차, ABGA 결과 분석 ABGA 동맥혈 채취 및 결과분석ABGA 정말 임상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지식이죠. 보통 동맥혈 채취는 의사가 하지만, 병원에 따라 간호사 선생님이 하시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그래서 동맥관이 연결되어 있을 때 동맥혈 채취법과 결과분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ABGA란?동맥혈 가스 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ABGA)은 환자의 산-염기 균형과 산소/이산화탄소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로 요골동맥, 대퇴동맥, 상완동맥 등이 일반적인 채취 부위입니다. 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동맥관이 이미 삽입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채취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동맥혈 채취 절차1. 손위생을 실시한다. 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3. 개방형 질문으로 대상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을 포..
NG tube 비위관 세척, 제거 방법 / L-tube irrigation, Removing the NG tube NG tube 비위관 세척 , 제거저번 시간에는 비위관 삽입 절차에 대해 알아봤었죠. 오늘은 비위관 삽입 후 세척 및 제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비위관 세척1. 손위생 후, 장갑을 착용한다.2.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3. 이름과 등록 번호 등으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개방형)4. 대상자에게 절차와 목적에 대해 설명한다.5. 깨끗한 수건을 비위관(NG tube)과 튜브 연결부위 밑에 놓는다.6. 장비나 수액을 연결하거나 재연결하기 전이동 시인계 시에는 튜브나 카테터의 시작점에서 대상자까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7. 튜브가 아직 위장(stomach) 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코 밖에 나온 튜브의 펜이나 테이프의 표시를 확인하고, 콧구멍에서 튜브 밖의 길이가 변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8...
비위관 삽입 절차, NG tube 종류 / Nasogastric Tube Insertion 비위관 삽입 절차,  NG Tube 종류비(코) ~ 위장을 연결하는 비위관 삽입 절차, 세척 방법, 제거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비위관이란?Nasogastric Tube로 코를 통해 식도 ~ 위장까지 도달하는 튜브로서 영양 공급이나 약물 투여, 위액 제거 및 위 감압을 위해 사용됩니다.NG tube 종류levin tube : 튜브 끝이 단일 내강, 배액 주머니와 간헐적 흡인장치와 연결됨.Salem Sump 튜브 : 2개의 내강을 가지고 있어, 첫 번째 내강은 위 내용물 제거, 두 번째 내강은 공기 배출구가 달려있어 위점막이 튜브 끝의 구멍으로 흡인되는 것을 막아줌.비위관 삽입 절차1.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을 착용한다.2. 이름과 등록 번호(two identifiers)로 대상자를 확인한다.3. ..
[성인간호] ECG,EKG 보는 법 뽀개기, 심폐소생술 EKG, 심전도로 심박수 측정하는 법, 파형 분석 EKG,ECG 보는 법오늘은 심전도 파형 분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이죠. 체표면으로 전달되는 심장내의 전기적 흐름을 신체 표면에 부착하여 기록하는 것입니다. 저번에는 12유도 부착 술기와 부착위치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심전도 결과지로 심박수 측정과 pqrst파의 파형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간호핵심술기] 12유도 심전도 완벽 가이드 : 술기 순서 / 부착 위치 / 적응증 / 주의사항 /파형 분석ECG (EKG)는 PQRST 로 이루어져 있지요. 1. P파 - 심방 근육의 탈분극(depolarization)을 나타냅니다. - 정상적으로 둥근 모양이며, 0.08-0.12초 지속됩니다. 2. PR 구간 - P파의 끝부터 QRS 복합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