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대에 간호학생/간호술기

CPN (중심정맥영양) , TPN (완전비경구영양)의 차이와 적응증, 모든 것

반응형

CPN (central parenteral nutrition, 중심정맥영양)

중심정맥영양(central parenteral nutrition, CPN) 및 완전비경구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은 환자의 위장관 기능이 저하되거나 영양소를 섭취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중요한 영양 공급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특히 40가지 이상의 약물을 함께 혼합할 수 있는 복합 영양 공급 요법으로,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중심정맥영양액(CPN)의 투여 오류는 심각한 유해 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영양 공급은 고위험 약물로 분류됩니다.

CPN은 보통 10% 이상의 포도당 농도를 가지며, 고삼투압(>900 mOsm/L) 특성을 갖고 있어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access device, CVAD)을 통해 주입해야 합니다. 초기 며칠 동안은 환자의 포도당, 전해질 및 체액 수준을 면밀히 관찰해야 하며, 안정화되면 검사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CPN & TPN 의 차이

CPN(중심정맥영양, Central Parenteral Nutrition)과 TPN(완전비경구영양, Total Parenteral Nutrition)은 모두 비경구적인 방법으로 영양을 공급하는 방식이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정의

  • CPN: 중심정맥을 통해 영양액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주로 고삼투압 영양액이 사용됩니다. 주로 중증 환자나 위장관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 TPN: 모든 필요한 영양소(포도당, 아미노산, 지방, 비타민, 미량원소 등)를 포함하여 체내에 완전한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영양액의 조성

  • CPN: 주로 포도당, 아미노산, 전해질, 비타민, 미량원소 등을 포함합니다. 필요에 따라 약물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 TPN: CPN의 조성을 포함하면서, 환자의 영양 필요에 따라 더욱 세밀하게 조정된 복합 영양액을 사용합니다.

주입 방법

  • CPN: 중심정맥관을 통해 주입되며, 일반적으로 10% 이상의 고삼투압 영양액이 사용됩니다.
  • TPN: 중심정맥이나 말초정맥을 통해 주입될 수 있으며, 보다 넓은 범위의 영양을 포함합니다.

결론적으로, CPN과 TPN은 비슷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적용 범위와 영양액의 조성, 주입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CPN은 주로 중심정맥을 통한 영양 공급을 강조하며, TPN은 환자의 전체적인 영양 상태를 고려한 포괄적인 영양 공급을 의미합니다.

CPN 적응증

  • 대상자에게 위관을 유문후(postpyloric)에 적절히 배치하는 것을 실패하여 장관영양 시도가 어려운 경우
  • 기저 질환 또는 치료로 인해 (: 마비성 장폐색, 장간막 허혈, 소장 폐색) 장관영양이 금기이거나 장관의 기능이 심하게 감소된 경우
  • 대상자가 수술 후 영양공급이 필요하나, 먹거나 장관영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CPN 적용 절차

  1. 손위생 실시: 대상자와 접촉하기 전에 손위생을 철저히 실시합니다.
  2. 자기소개: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합니다.
  3. 대상자 확인: 이름과 등록 번호(두 가지 식별자)를 통해 대상자를 확인합니다.
  4. 금기사항 사정: 중심정맥영양 또는 정맥주사용 지질액 공급에 대한 특정 금기 사유가 있는지 대상자를 사정하고, 필요 시 의사에게 알립니다. (미국에서는 지질액에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원천인 대두 또는 홍화유, 유화제로 계란 인지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 영양실조 증상 사정: 다음과 같은 단백질 열량 영양실조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6개월 이내 10% 이상 비자발적 체중 감소
    • 1개월 이내 5% 이상 비자발적 체중 감소
    • 체질량지수(BMI) 18.5 kg/m² 미만 또는 25 kg/m² 초과
    • 만성 질환
    • 대사 요구량 증가
    • 7일 이상 음식 또는 영양제품 섭취 불가
  6. 칼로리 계산: 대상자가 섭취해야 할 칼로리를 계산하고, 단백질 및 체액 요구량에 대해 의사 및 영양사와 논의합니다.
  7. 흉부 X-ray 검토: 가장 최근의 흉부 X-ray 결과를 검토하여 중심정맥관 끝이 중심정맥에 제대로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의사에게 알리고 CPN을 주입하지 않습니다.
  8. 병력 검토: 중심정맥영양액 투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합니다. (예: 포도당 및 전해질 수준, 중성지방, 신장 및 간 기능)
  9. 혈청 중성지방 수치 확인: 정맥주사용 지질액(ILE) 투여 전 혈청 중성지방 수치를 사정하고, 치료 동안 주기적으로 지질 청소율을 관찰합니다. 혈청 중성지방 수치가 400 mg/dl 이상인 경우 췌장염 위험이 높으므로 ILE를 투여하지 않습니다.
  10. 활력징후 및 체중 측정: 대상자의 활력징후 및 체중(kg)을 측정합니다.
  11. 심폐 상태 사정: 대상자의 심폐 상태를 사정합니다.
  12. 중심정맥관 삽입부위 사정: 염증, 부종 및 압통 여부를 사정합니다.
  13. 개방성 확인: 중심정맥관의 개방성을 확인합니다.
  14. 입원 당시 체중 확인: 입원 당시의 실제 체중을 kg 단위로 확인하고, 필요 시 다시 측정합니다.
  15. 영양액 보관 및 준비: 2~8 ˚C 냉장고에 중심정맥영양액을 보관하고, 주입 전 실온이 되도록 데웁니다.
  16. 처방 확인: 포도당, 아미노산, 지질액(ILE), 전해질, 비타민, 미량 원소, 추가 약물 및 주입 속도에 대한 의사의 처방을 확인합니다.
  17. 약물 상태 확인: 약물에 부유물이나 변색, 다른 결함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혼탁하거나 침전물이 있는 약물은 사용하지 않으며, 크리밍이 발생한 경우 부드럽게 혼합합니다.
  18. 약물 관련 정보 검토: 약물의 작용, 목적, 약효 발현 시간, 최고 효과 시간, 정상 용량, 일반적인 부작용 및 간호적 의미를 검토합니다.
  19. 손위생 및 장갑 착용: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을 착용합니다.
  20. 절차 설명 및 동의 확인: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치료에 동의하는지 확인합니다.
  21. 투약 카드 확인: 의사 처방 내용이 투약 카드(MAR)에 정확하게 기입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22. 약물 안전 원칙 준수: 약물 안전의 6가지 원칙을 준수합니다.
  23. 필터 부착: 무균법을 사용하여 적절한 필터를 IV 라인에 부착합니다.
  24. IV 주입세트 연결: 사용 직전 무균법으로 IV 주입세트를 CPN에 부착합니다.
  25. 라인 채우기: CPN으로 라인을 채우고 공기 방울이 남아 있지 않은지 확인한 후 클램프를 잠급니다.
  26. 라벨 부착: CPN 백에 용액 주입 시작 날짜와 시간을 기록한 라벨을 붙이고 서명합니다.
  27. 주입라인 표시: 각 의료 기관의 지침에 따라 주입라인에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고 서명합니다.
  28. 중심정맥관 포트 확인: CPN 투여에 사용될 중심정맥관의 포트를 확인합니다.
  29. 연결 확인: (1) 장비나 수액을 연결하기 전, (2) 이동 시, (3) 인계 시 튜브나 카테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30. 포트 잠금 확인: 중심정맥관 포트가 잠겨 있는지 확인합니다.
  31. 소독 실시: 선택한 중심정맥관 포트를 소독하기 위해 적절한 소독 용액을 사용해 강하게 문지른 후 용액을 건조시킵니다.
  32. 라인 연결: 무균법을 사용하여 연결 장치와 주입라인의 끝을 연결합니다.
  33. 튜브 라벨링: 여러 주사 부위나 수액백이 있을 경우, 각각의 연결 부위에 라벨을 부착합니다.
  34. 활력징후 확인: 연결 직후에 활력징후를 확인합니다.
  35. 주입 속도 조절: CPN 주입라인을 인퓨전 장치에 삽입하고, 클램프를 완전히 열어 지침에 따라 펌프의 흐름 속도를 조절합니다.
  36. 유해 반응 관찰: CPN 또는 ILE에 대해 유해 반응과 알레르기 반응을 관찰합니다. 호흡 곤란, 천명, 순환 허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중재합니다.
  37. 통증 사정: 통증이 있는지 사정하고 처치 후 재사정합니다.
  38. 물품 처리 및 손위생: 사용한 물품을 버리고 장갑을 벗은 후 손위생을 실시합니다.
  39. 기록 작성: 대상자의 차트에 수행 결과를 기록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PPN과 TPN의 차이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CPN에 빼놓을 수 없는 중심정맥관에 대해서도 다뤘으니, 같이 보시면 더 도움이 되실겁니다.

중심정맥관 : 말초삽입 중심카테터(PICC)이란? 목적 / 합병증 / 적응증 및 관리

 

[간호임상술기] 중심정맥관 : 말초삽입 중심카테터(PICC)이란? 목적 / 합병증 / 적응증 및 관리

PICC 개요PICC(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는  긴 유연한 튜브는 팔의 정맥을 통해 삽입되어 심장 근처의 큰 정맥까지 연결되어, 장기간 약물, 수액, 영양분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카테터를 말합

sophie0926.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