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대에 간호학생/간호술기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지속적 신대체요법 적응증, 종류 및 환자 간호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투석실과 중환자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CRR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RRT란?

신장 기능이 급격히 저하된 중환자에게 필요한 치료법으로, 신장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체하여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CRRT는 특히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게 적합하며, 전통적인 혈액 투석 방법에 비해 천천히 지속적으로 체액과 전해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CRRT 적응증

지속적 신대체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은 신장기능이 손상되어 불안정한 대상자에게 혈액투석의 대안으로 사용됩니다. CRRT는 체외 혈액 투석 치료로, 체액량과 산-염기 균형, 전해질 교정, 면역 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이 치료는 대상자에게 하루 24시간 지속적으로 적용되며, 수 일에서 수 주까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급성 신부전
  • 과수분증, 중증 전해질 불균형,
  • 약물 중독
  • 패혈증 

CRRT의 종류

• 지속적 저속 초여과(slow continuous ultrafiltration, SCUF) 
• 지속적 정정맥 혈액여과(continuous venovenous hemofiltration, CVVHF)
• 지속적 정정맥 혈액투석(continuous venovenous hemodialysis, CVVHD)
• 지속적 정정맥 혈액투석여과(continuous venovenous hemodiafiltration, CVVHDF)

1. SCUF (Slow Continous Ultrafiltration)은 혈장 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됩니다. 투석액이나 보충액의 사용 없이 시간당 100-300 ml의 속도로 초여과 만 일어나는 치료 방법으로 용질의 제거는 거의 없습니다.

2. CVVHF (Continuous Venovenous Hemofiltration)는 혈액에서 과도한 체액과 전해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필터를 통해 혈액을 여과하여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합니다. 투석액은 사용되지 않으며 여과된 수분을 보충하는 보충액이 투여된다.

3. CVVHD (Continuous Venovenous Hemodialysis)는 주로 전해질 조절에 중점을 두며,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확산을 이용해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합니다.

4. CVVHDF (Continuous Venovenous Hemodiafiltration)는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하여 체액과 전해질 모두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투석액과 보충액 모두 필요합니다.

CRRT 기기 설명

혈액여과기에는 네 개의 포트(port)가 존재합니다.

-> 혈액을 위한 양 끝의 두개의 포트 (혈액 유입구와 유출구), 투석액을 위한 측면의 두 개의 포트 (투석액 유입구와 유출구). 대부분 혈액과 투석액은 반대 방향 (역류 방향)으로 투석기를 통과합니다.



청소율(clearance)은 대상자의 혈액에서 대사산물이나 약물을 제거하는 필터의 능력을 의미하며, 확산, 삼투, 대류, 초여과 과정 중에 발생하는데, 이 청소율에는 혈류와 투석액의 속도, 용질의 농도가 영향을 미칩니다.

CRRT의 장단점

장점

  • CRRT는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서 혈압의 변동 없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고, 산염기 평형, 전해질 이상의 교정 용이
  • 간헐적 혈액투석 보다 훨씬 많은 양의 용질 제거 가능
  • 뇌압이 상승한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

단점

  • 지속적 항응고제 투여 필요
  • 저체온증 (혈액 투입구 등에 따뜻하게 유지하는 추가적인 호스를 연결합니다)
  • 거동 제한
  • 영양분 및 무기질의 손실

환자 간호 및 중재


1. CRRT 시작 이후부터 매시간 활력징후 및 심장리듬의 변화나 빈호흡 등을 관찰합니다.

2. 투석 카테터가 삽관된 사지의 말초 혈관 순환 상태를 관찰한다.

3. 정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실시하여 전해질과 포도당, 알부민 수치를 확인합니다.
 -> 치료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분과 전해질 이동이 발생하므로 전해질과 포도당, 알부민 수치를 관찰해야 합니다. 아미노산 또한 혈액여과기를 통하여 손실될 수 있습니다.
4. CRRT 회로의 개방성을 확인한다.
-> CRRT 치료 기간 동안 회로 분리, 회로 내 공기 유입, 혈액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회로 내 혈액응고는 CRRT의 잠재적 합병증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5. 여과율(배액 정도), 배액 회로의 색상, 기포 유무를 관찰합니다.

6. 처방에 따라 항응고제를 투여하고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합니다.

7. CRRT 관련 합병증이 나타나는지 관찰합니다.

(근육 경련, 투석 불균형 합병증 (두통, 오심, 구토, 고혈압, 감각 저하, 경련, 혼수), 공기 색전, 저체온증, 활력징후 변화 등)

11. 혈액 펌프가 적절히 작동하는지 관찰합니다.

CRRT 기기의 연결과 기기 사용은 경상국립대병원 유튜브에 자세히 나와있더라구요.

https://www.youtube.com/watch?v=Tz4bwxniBCg

 

ICU의 꽃 crrt와 ecmo 아니겠습니까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체외막산소화기 적응증 및 간호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